시애틀늘푸른산악회(회장 류성현) 회원 10여 명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레이니어 국립공원 생태계 복원 활동에 적극 참여하며 환경보호 실천에 나섰다.
9월 13일 레이니어 국립공원 내 디어 크릭 주변 훼손지역에서 진행된 복원 활동에서 이들은 자생식물 5,520주를 직접 심으며 국립공원 생태계 회복에 실질적인 기여를 했다.
시애틀늘푸른산악회는 올해 두 차례에 걸쳐 레이니어 국립공원 환경보호 활동을 전개했다. 지난 7월 12일에는 유성현 회장을 비롯한 회원 10명이 외래 침입종 식물 제거 자원봉사에 참여했다. 무더운 날씨를 고려해 오전 7시 45분 이른 시간부터 시작된 이 활동에는 지역 주민들과 타주에서 온 자원봉사자들도 함께했다.
9월의 자생식물 복원 활동은 이들의 두 번째 참여로, 탐방객 발길로 훼손되기 쉬운 파라다이스(Paradise)와 선라이즈(Sunrise) 일대 고산 초지 복원을 목표로 했다. 레이니어 국립공원은 매년 공원 내에서 채집한 종자를 온실에서 키워 다시 초지에 심는 방식으로 복원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국립공원 측은 직원과 자원봉사자들이 협력해 식재, 외래종 제거, 생존율 조사 및 생태 모니터링을 병행하고 있으며, 공원 생물학자들에 따르면 이번에 심은 식물들이 완전히 뿌리를 내리고 다시 무성해지기까지 약 20년이 소요된다고 밝혔다.
시애틀늘푸른산악회는 꾸준한 복원 활동 참여로 “호미 아미(호미를 든 군대)”라는 애칭으로 현지 자원봉사자들 사이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특히 한인 자원봉사자들이 한국의 전통 농기구인 ‘호미’를 사용해 순식간에 모종을 심어내는 모습이 주목받았다.
회원들은 5,000여 포기의 식물을 심는 작업으로 허리와 어깨, 팔이 뻐근했지만 자부심을 느꼈다고 전했다. 이들의 헌신적인 활동은 그렉 더전(Greg Dudgeon) 레이니어 국립공원 총책임자를 포함한 국립공원 관계자들의 인정을 받았다. 더전 총책임자는 직접 캠프사이트를 방문해 감사 인사를 전하기도 했다.
올해는 봉사 활동을 마친 후 국립공원 레인저들을 저녁 식사 자리에 초대해 불고기와 삼겹살을 함께 나누며 교류의 시간을 가져 문화적 소통의 의미도 더했다.
매주 워싱턴주의 아름다운 산을 찾아 산행을 즐기며 자연을 사랑하는 산악 동호회인 시애틀늘푸른산악회 이러한 활동은 등산객들이 등산로를 벗어나지 않는 것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실천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들의 지속적인 환경보호 활동은 한인 커뮤니티의 자연사랑 정신을 보여주는 모범 사례로 자리잡고 있다.
출처 : 시애틀코리안데일리(http://www.seattlek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