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건주 유진에서 그로서리를 운영하는 한인 부부가 조직 절도단에게 평생 모은 재산을 모두 빼앗기는 충격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전국적으로 아시안 비즈니스 오너들을 노린 조직 범죄의 일환으로, 고도로 계획되고 기술적으로 정교한 수법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뉴욕타임스는 14일 보도를 통해 지난 8월 코발리스에서 아시안 그로서리를 운영하는 김종만(69)·병숙 씨 부부가 귀가했을 때의 참담한 상황을 전했다.
집 안은 완전히 뒤집혀 있었다. 거의 모든 서랍이 열려 있었고, 옷 주머니는 뒤집혀 있었다. 깊숙이 숨겨둔 금고는 강제로 열렸고, 또 다른 금고는 통째로 사라졌다.
사라진 것은 부부의 평생 저축, 결혼반지, 대를 이어온 가보, 그리고 김 씨가 수십 년간 정성껏 모아온 아이젠하워 달러 동전이었다. 집에는 일반 동전 몇 개만 덩그러니 남았다.
김 씨는 “50년 동안 돈을 모으고 꿈을 키워왔는데, 아이들에게 더 나은 삶을 주고 싶었는데 이제 무엇을 위한 것이었나”라며 절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경찰은 김 씨 부부 사건이 해당 지역에서 아시안 가정을 노린 연쇄 절도의 시작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실제로 최근 1년간 플로리다, 위스콘신, 오하이오, 콜로라도, 펜실베이니아, 오리건 등 전국 각지에서 아시안 비즈니스 오너들을 표적으로 한 절도 조직이 연이어 적발됐다.
경찰에 따르면 용의자 대부분은 남미, 특히 콜롬비아 출신으로 비자 만료 상태이거나 불법 체류 중인 것으로 밝혀졌다.
아시안 비즈니스 오너들이 다른 집단보다 집에 실제로 더 많은 현금을 보관하는지는 확인되지 않만 그러한 인식이 이들을 범죄의 표적으로 만들었다고 경찰은 설명한다.
언어와 문화 장벽으로 인한 범죄 신고 기피, 소상공인의 규칙적이고 예측 가능한 일과, 집을 오래 비우는 시간대가 명확하다는 점이 범죄자들로 하여금 아시안 비즈니스 오너를 ‘쉬운 표적’으로 여기게 만드는 요인이다.
절도단의 범행 수법은 놀라울 정도로 정교하다.
먼저 H마트 등 아시안 식료품점에서 사업주를 확인하거나 공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집 주소를 찾아낸다. 이어 숨겨둔 카메라로 생활 패턴을 기록하고, 무선 경보 시스템을 무력화하는 불법 신호 교란기를 사용한다.
조경 작업자나 배달 기사로 위장해 며칠, 심지어 몇 주 동안 주택을 관찰한 뒤, 집주인이 일하는 낮 시간대에 뒷문을 부수고 침입한다. 한 지역에서 수 주간 여러 집을 턴 후에는 다른 도시나 주로 이동하는 방식이다.
인구 17만 7,000명의 대학 도시 유진에서 아시안 인구는 약 4%에 불과하다. 그러나 2024년 초부터 세 차례에 걸쳐 아시안 거주자를 노린 절도가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유진 경찰은 22건의 절도로 약 170만 달러 상당의 현금과 물품이 도난당했다고 밝혔다.
아시안아메리칸재단(TAAF)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4년까지 아시안을 대상으로 한 485건의 절도 사건 중 대다수가 피해자의 집에서 발생했으며, “인종적 표적화가 광범위하고 의도적”이라고 결론 내렸다.
유진 경찰국장 크리스 스키너는 최근 한인 교회에서 열린 포럼에서 “이것이 카르텔형 조직의 별도 사업 모델일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출처 : 시애틀코리안데일리(http://www.seattlek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