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애틀 지역 노동력의 12.7%가 외국 출생 비시민권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IT 정보산업과 농업 분야에서 이들에 대한 의존도가 더욱 높다는 미국 인구조사국 자료가 공개됐다. 이는 전국 평균 8.3%를 크게 웃도는 수치로, 트럼프 행정부의 대량 추방 정책이 시애틀 지역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 인구조사국의 2019-2023년 평균 추정치에 따르면, 시애틀 대도시권에서 16세 이상 민간 노동력 중 외국 출생 비시민권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12.7%에 달한다. 이들은 영주권자와 취업비자 소지자를 포함한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정보산업 분야에서 비시민권자 근로자 비율이 21%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이는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주요 테크 기업들이 H-1B 비자 등을 통해 국제적 인재를 적극 채용하고 있는 결과로 분석된다.
농업·광업 분야도 20.7%로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전문 서비스업이 19.6%, 건설업이 16.9%, 숙박·음식서비스·레크리에이션업이 14.3%를 각각 기록했다.
워싱턴주 이민자 연대 네트워크의 카탈리나 벨라스케스 사무총장은 “이민자들은 우리의 이웃이며 시애틀과 워싱턴주의 사회적, 문화적 구조에 필수적인 존재”라고 강조했다.
노스웨스트 이민자 권리 프로젝트의 말루 차베스 사무총장은 “연방 정책 변화로 인해 미국 내 많은 이민자들이 곧 합법적으로 일할 수 있는 능력을 잃게 될 것”이라며 “이는 해당 개인과 가족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차베스 사무총장은 “사람들이 이미 취업 허가를 받았는데 이제 그들을 지역사회에서 빼앗아가는 것은 옳지 않다”고 비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쿠바, 아이티, 니카라과, 베네수엘라 출신자들을 위한 바이든 시대 인도주의적 가석방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특정 국가 출신 이주민들의 임시보호지위(TPS) 종료를 추진하고 있다. 이는 미등록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한 추방 노력과는 별개의 조치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월 자신의 단속이 농장과 접객업 근로자들에게 특히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변화를 약속했지만, 아직까지 주요한 정책 결정은 발표되지 않았다.
정치전문지 폴리티코는 농민들이 미등록 근로자들을 위한 백악관의 대규모 계획 지연에 “좌절감을 느끼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편 가디언지는 일부 농장 근로자들이 이민 단속에서 “동물처럼 사냥당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일부 임시 근로자 비자를 간소화하기 위한 노동부의 새로운 ‘이민정책청’ 설치 등 소규모 조치들을 취했다.
시애틀 지역의 높은 비시민권자 근로자 비율은 연방 이민 정책 변화가 다른 지역에 비해 더 큰 경제적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지역 경제의 핵심인 테크 산업과 농업 분야에서의 높은 의존도는 정책 변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 사태로 이어질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출처 : 시애틀코리안데일리(http://www.seattlek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