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의 채무불이행(디폴트) 위기가 약 1주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을 비롯한 정치권 인사들이 시장 달래기에 나섰다. 이들은 예산 협상에 진전이 있다며 디폴트까지 가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바이든은 25일 미 워싱턴DC 백악관 연설에서 “공화당의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과 나는 몇차례 생산적인 대화를 나눴으며 우리 직원들이 대화를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바이든은 “대화에 진전이 있으며 우리는 열심히 일하는 미국인들을 보호하고, 전진할 수 있는 합의에 도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디폴트는 없을 것”이라며 현재 협상은 부채 한도 상향이 아니라 정부 예산에 대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나는 1조달러(약 1330조원) 이상을 삭감하는 안을 내놨고, 이는 향후 2년 간 동결될 것”이라며 중산층 관련 프로그램 예산 감축 등에는 동의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미 의회는 지난 1939년부터 연방정부가 국채 등으로 빚을 질 수 있는 금액에 상한을 설정했다. 현재 정부의 부채 한도는 2021년 12월 증액된 31조3810억달러(약 4경1604조원)다. 미 정부는 의회가 정부의 부채 한도를 확장하지 않는 최악의 경우 디폴트에 빠질 수 있으며 이미 지난 1월에 부채 규모가 한도에 달했다. 비상조치로 디폴트를 미루고 있는 미 재무부는 다음달 1일 이후 정부가 디폴트 상태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 공화당은 부채 한도를 높이는 조건으로 바이든의 내년 복지 예산을 깎아야 한다며 백악관 및 민주당과 대치중이다. 매카시는 지난 22일 바이든과 세 번째 회동에서도 부채 한도에 대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이후 백악관과 공화당 협상팀은 연일 실무협상을 이어가고 있다. 매카시는 24일 기자들과 만나 부채 협상에 대해 “우리는 일부 진전을 이뤘고 이는 매우 긍정적”이라고 주장했다.
바이든의 발언 당일 백악관의 카린 장 피에르 대변인도 “앞으로 나아갈 유일한 방법은 초당적 합의로, 이에 도달할 것으로 믿는다”며 “의회는 지금 조치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모든 의회 지도자는 디폴트가 선택지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강조했다.
FT는 매카시가 25일에 공화당 대선 주자로 나선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했다고 전했다. 트럼프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바이든 정부가 예산을 크게 깎지 않으면 디폴트에 빠지도록 내버려 둬야 한다고 주장했다. 같은날 공화당의 협상팀의 개릿 그레이브스 하원의원은 협상에서 “약간의 진전”이 있었다면서 협상을 계속한다고 설명했다.